이민정책연구원은 이민정책개발을 위한 연구와 교육
그리고 국내외 네트워크와의 협력을 통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서브메뉴

이민정책 Weekly Report(2024-10-28)

2024.10.28

List

  • 첨부파일
  • 조회수 230
이민정책 Weekly Report
 
 
 

2024년 10월 21일

 

노사발전재단, 외국인 근로자 신속지원
핫라인 활성화 방안 논의


▣ 담당부서: 노사발전재단 글로벌노사지원팀
▣ 작성일: 2024.10.24.(목)
▣ 내용:

노사발전재단(사무총장 김대환)은 5개국 주한송출국 대사관 및 한국공인노무사회와 함께 10월 24일 외국인 근로자 취업 교육장(경기 여주시)에서‘외국인 근로자 임금체불·중대재해 신속지원 핫라인 1차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씨리랏 씨찻 노무관(태국), 페이표텟 노무관(미얀마), 바트자르갈 바야스갈란 노무관(몽골), 레타인하 1등서기관(베트남), 캄바이 께오마니 3등서기관(라오스)을 비롯해 이성필 노무사(한국공인노무사회) 등 17명이 참석했다.

노사발전재단은 외국인 근로자 도입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임금체불 근절·중대재해 감축이라는 정부의 정책 기조에 발맞춰 외국인 근로자의 현장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 상반기에 5개국 주한 송출국 대사관과 ‘임금체불·중대재해 신속지원 핫라인’을 구축하여 가동 중이다.

지금까지 핫라인을 통해 접수된 총 17건 중 한국공인노무사회를 통해 진정된 11건 모두 임금 체불이었고, 그중 2건이 협의 종결되는 좋은 결과가 있었다. 한국공인노무사회는 외국인노동자 핫라인 참여지원단을 구성하여 현재 권역별·지역별 440명의 노무사가 조력 지원 중이다.

간담회에서는 노사발전재단과 5개국 송출국 대사관이 각 국가의 특성에 맞는 홍보 전략을 마련하고, 다양한 접근 방법을 모색하기로 합의했다. 또한, 국가별 근로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SNS 활용을 극대화한 홍보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를 공유하기로 했다.

씨리랏 씨찻 주한 태국 대사관 노무관은 “이번 핫라인 지원 사업을 통해 태국인 근로자들이 무료로 노무사 지원을 받아 진정을 진행했으며, 일부 근로자들은 실제로 사업주로부터 체불 임금을 지급받고 감사의 뜻을 전하는 동영상을 보내왔다”라며, “주한 태국 대사관도 핫라인 활성화를 위해 적극적인 홍보와 지원을 하겠다”라고 전했다.

노사발전재단 김대환 사무총장은 “외국인 근로자들이 권리구제 절차에 익숙하지 않아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는데, 노사발전재단은 핫라인을 통해 더 많은 외국인 근로자들이 신속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 자세한 내용은 법무부 홈페이지를 확인해 주세요.

 

 

캐나다 정부, 이민자 유입 감소 계획 발표

▣ 원제목: Government of Canada reduces immigration

▣ 발표기관: Immigration, Refugees and Citizenship Canada

▣ 발표일: 2024.10.24.(목)

▣ 내용:

2024년 10월 24일 자로 캐나다 이민·난민·시민권부는 2025-2027년 이민자 유입 감소 정책 계획을 발표했다. 향후 캐나다 정부는 단기적으로 인구 증가를 일시 중단하고, 장기적으로 잘 관리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정책 계획에서는 처음으로 유학생과 외국인 근로자 등 임시 거주자와 영주권자를 위한 목표 설정도 포함되어 있다.

이 계획은 주택, 기반 시설, 사회 복지에 대한 부담을 완화하고, 장기적으로 이민을 통한 경제적·사회적 번영을 도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국민의 의견을 반영해 영주권자 목표 수치를 줄이고, 임시 거주자를 캐나다 인구의 5%로 감소시키는 조치도 시행될 예정이다.
- 2025년 영주권자 목표치를 50만 명에서 39만 5천 명으로 축소
- 2026년 영주권자 목표치를 50만 명에서 38만 명으로 축소
- 2027년 영주권자 목표치를 36만 5천 명으로 설정

또한 이미 캐나다에 거주하고 있는 유학생과 외국인 근로자를 영주권자로 전환하고,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퀘벡주 지역 사회 강화 등의 조치를 포함하고 있다.

※ 자세한 내용은 해당 홈페이지를 확인해 주세요.

 

▣ 저자: 박미화
▣ 발행기관: 이민정책연구원
▣ 발행연도: 2024년 10월
▣ 내용: 

이 연구는 국내에서 고령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중국동포를 사례로, 이주민의 고령화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하고 정책과제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장과 3장에서는 국내와 해외의 고령 이주민 관련 정책 동향과 이슈를 살펴본다. 4장에서는 「출입국·외국인정책통계연보」와 「이민자체류실태및고용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외국국적동포 고령층의 인구현황, 고용 및 생활실태를 살펴본다. 5장에서는 60세 이상 중국동포 고령층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통해 거주실태, 노후대비 등을 파악한다. 6장에서는 각 분야 전문가 자문을 통해 고령 동포 실태, 정책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7장에서는 고령 이주민에 대한 정책 개선을 위한 주요 과제를 제언한다.

※ 원문은 연구원 홈페이지를 확인해 주세요

▣ 원제목 : Engaging Local Communities for More Effective Climate Mobility Programming

▣ 발표기관 : Migration Policy Institute / 이주정책연구소

▣ 발표일: 2024년 10월

▣ 내용

기후 변화는 모든 지역 사회에 동일하게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한 곳에서 일어난 홍수가 거대하고 장기적인 이재이주(displacement)의 원인이 되거나 심지어 영원히 귀향을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지만, 어떤 지역 사회는 다른 곳에서 잠깐 대피만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현상은 얼마나 기후 변화에 취약한 지역 사회가 기후 변화에 얼마나 준비가 되어 있고, 지역 사회가 갖추어야 하고 적응해야 하는 자원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기후 변화가 인간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이 너무나 지역적이기 때문에 그에 대한 해결책도 지역에 맞춰져야 한다.

그러한 맥락에서 지역화의 해법은 이재이주(displacement)를 방지하고 해당 지역 사회의 회복, 재건과 적응 능력과 열망 및 우선순위가 고려된 안전한 이주를 지원하는 방식이어야 한다. 지방 정부와 지방 NGO 단체를 포함한 지역 사회의 이해관계자들이 지역의 필요와 역학을 가장 잘 파악하는 만큼 국제기구 및 국가 단위의 주체들과 함께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이슈 브리프는 기후 이주 해결책에서 지역화의 중요성과 지역의 주체들이 더 많은 역할을 하는 데에 방해되는 공통적인 문제들을 파악하고 있다. 또한 지역화를 말뿐인 약속에서 실천으로 전환하기 위한 권고 사항도 제시하고 있다.

※ 원문은 해당 홈페이지를 확인해 주세요


제4회 대학(원)생 대상 이민정책연구 논문공모전 수상자 발표 연기 안내('24.10.30.)

제4회 이민정책연구원 대학(원)생 대상 이민정책연구 논문공모전 수상자 발표 및 시상식 일정이 연기되어 안내드립니다.

 

▣ 수상자발표: 2024. 10. 30.(수)

▣ 시상식: 2024. 11.15.(금)

※ 자세한 내용은 연구원 홈페이지를 확인해 주세요.

 




서울시 다문화 한마음축제('24.11.1.)

▣ 일시: 2024.11.1.(금) 11:00 ~ 16:00

▣ 장소: 서울 청계광장 (중구 태평로1가1)

▣ 내용: 체험행사(전통문화 체험, 한식체험), 전통놀이, 시민참여 이벤트 등

▣ 주최·주관: 서울특별시 새마을부녀회, 사단법인 대한민국 한식포럼

▣ 후원: 서울특별시

 

※ 자세한 내용은 해당 홈페이지를 확인해 주세요.

 

※ 해외세미나 일정은 행사가 없는 관계로 이번 한 주는 쉽니다.

 



이민정책연구원 소식을 더 많이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링크를 통해 자주 방문해 주세요 :)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MRTC.RE.KR
트위터: https://twitter.com/MRTC_re_kr
카카오톡 옐로ID: http://plus.kakao.com/home/ngirxyu5
이민정책연구원 홍보책: https://bit.ly/36TVsHK

* 본 메일은 이민정책연구원에서 발송되었습니다.

구독신청 Subscribe

이민정책 Weekly Report